저는 여유 자금의 관리 수단으로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현재 기준, 최신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사용후기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무엇이 달라졌고, 1억원을 하루 이자는 얼마가 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란?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는 카카오의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에서 제공하는 파킹통장입니다. 2025년 3월 현재 (세전) 연 1.80%의 이자를 제공하고 있고, 예치한도는 1억원입니다.
세이프박스 최신 정보 업데이트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의 가장 중요한 변경사항은 바로 금리가 2.00%에서 1.80%로 내려갔다는 점입니다. 저도 시점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이자 내역을 보면 2025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조정이 발생했던 것 같습니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의 금리는 2024년 2월에 연 2.10%에서 2.00%로 내려갔고, 약 1년 만에 0.2%p 더 내려갔습니다. 😲
1억원 예치하면 매일 이자는 얼마일까?
제가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장점으로 꼽은 것이 바로 이자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카뱅 세이프박스에 1억원을 예치했을 때 매일 받게 되는 이자는 얼마일까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2025년 2월 28일까지는 세이프박스의 이자는 연 2.00%였습니다. 따라서 1억원을 예치했을 때 매일 이자를 받으면 세후 4,649원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3월 1일부터는 이자가 0.2%p 하향되어 연 %1.80가 되었습니다. 이날 들어온 이자는 세후 4,181원임을 확인했습니다. 구체적인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년 세전이자: 1,800,000원
- 일일 세전이자: 4,931원 (1,800,000원 ÷ 365)
- 이자 소득세: 690원
- 지방세: 60원
- 세후 이자: 4,931 – 690 – 60 = 4,181원
0.2%p라는 숫자가 매우 작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루 세후 이자는 468원이 줄어들었습니다! 1년으로 보면 약 17만원(468원 × 365 = 170,820원)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사용후기
종합적인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사용후기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세이프박스는 이용하기 굉장히 편리합니다. 카카오뱅크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친화적이라 세이프박스의 자금을 관리하고 이자를 확인하기 쉬워 사용자는 자신의 자산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세이프박스의 예치한도는 1억원입니다. 하지만 1억원을 채운 상태에서 이자를 받으면 계좌에는 실제로는 1억원이 넘는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계좌에 1억원이 넘어도 문제가 되지 않았고 계속해서 매일 이자를 모으면 일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매일 이자를 모으면 대략 5일에 1원씩 이자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3월 현재 가장 큰 단점으로는 이자가 하락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1억원 기준으로 1년 세후 이자가 약 17만원이나 줄어들었다는 건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아쉬울 수 밖에 없습니다. 현 상황에서는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의 예치금액을 줄이고 이 자금을 이자가 더 높은 파킹통장을 옮기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제가 사용 중인 토스뱅크의 나눠모으기 통장은 지금도 연 2% 이자를 주기 때문에 금액의 일부는 여기로 옮기고, 더 나은 예적금 상품이 있을지 찾아볼 계획입니다.
저의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사용후기를 참고해보시고 여러분도 여유 자금을 어떻게 관리 및 운용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